본문 바로가기

벨훅스90

변화 [벨 훅스, 경계넘기를 가르치기] 대학의 강의실에서 본인이 어떻게 가르치는지에 관해, 강의실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관해 "상세하고 깊이있게" 이야기하는 대학 교수/강사들은 많지 않다. 대학 교수들의 직업경로에서 수업이란, 특별히 못 했을 때 벌점으로나 반영될만한 것이다. 연구를 하고 논문을 쓰는 것이 승진의 기준점이다. 전통적인 커리어 트랙에서 강사들은 대체로, 대학에서 하는 강사 생활을 어딘가 더 좋은 곳으로 가기 위한 발판으로 여긴다. 박사학위를 받은 후 대학에 교수로 취업할 때까지, 혹은 연구소에 정규직 연구원으로 취업할 때까지, 이력서를 채워야 해서 하는 일쯤으로. 그런 시스템이다. 그런 의미에서 전공이 교육학도 아닌 벨 훅스가 교육에 관해 이토록 진지하게 생각하고 고민하고 말하고 쓴 글이 더욱 더 소중하다. 언젠가 아주 오래 전에.. 2021. 12. 30.
흥이 나는 교실 [벨 훅스, 경계넘기를 가르치기] 이 구절 바로 앞에 나오는 구절이다. "내가 처음 맡았던 학부 수업에서 나는 초등학교 시절 사명감을 지닌 흑인 여교사들이 보여주었던 수업들, 프레이리의 연구, 급진적 교육학에 대한 페미니스트적 사고에 의지하여 강의했다."(p.13.) 나의 첫 대학 강의는 석사 졸업 후, 천안의 기술교대에서였다. 당시 상담전공이었던 선배가 교육심리학 강의를 맡기길래, '언니 저는 상담이 아니고 평생교육인데요' 라고 했더니, '어우 그냥 다 할 수 있잖아, 그럼 그냥 하는 거야'라고 했다. 그리고 선배 언니가 교재로 쓰라고 한 교육심리학 교재를 그대로 강의했다. 사실 어떻게 강의했는지 잘 기억나지 않는다. 토론시간을 주었는지 아닌지도. 다만 뭔가 현장으로 나가서 교육심리와 관련된 기관을 조사해오게 하는 그룹 프로젝트를 내주.. 2021. 12. 29.
당신에게 강의실이란? [벨훅스, 경계넘기를 가르치기] 어린 시절 흑인학교에서 좋은 경험을 한 벨 훅스는 조금 더 커서는 인종통합정책이란 명목 하에, 멀리 떨어져 있는 백인중심 학교에 다녀야 했다. 교실에서 주체성과 독립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은 아마도 어린 시절 흑인 학교에서 배웠던 것 같다. 그 이후 교실에서 열등한 인종 취급을 받으며 학교에 다녔던 경험에 관해 책에 주욱 나온다. 이 구절은 대학원의 경우다. 은행저금식 교육으로 지식을 여전히 주입받고 권위자에게, 권위자가 말하는 지식에 복종해야 했던 그런 강의실에서, 학생으로서 "사고하는 독립체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기 위해 힘겹게 싸워야 했다니. 나의 지도교수였던 훌륭한 흑인 여성 와니타 존슨베일리(Professor Juanita Johnson-Bailey)는 그의 책(Sistahs in Colleg.. 2021. 12. 28.
작가가 되고 싶었던 어린 벨 훅스 오벌린대학에서 종신교수로 임명되었을 때 벨 훅스는 우울감에 빠졌다고 책의 첫 페이지에 적고 있다. 세상에 노동자 계급 출신 흑인 소녀가 대학의 교수가 되다니, 모두들 벨 훅스가 안도하고 감격하며 자랑스러워할 것이라고 믿었기에 자신의 진짜 감정을 털어놓을 수가 없었다고 한다. 하지만 심리치료사인 언니에게 그 이야기를 하자 언니가 일깨워주었다는 말이다. 벨 훅스는 어린 시절부터 작가가 되고 싶어했다는. 그래서 벨 훅스가 작가이자 교수로 살았나 보다. 어릴 때부터 작가가 되고 싶은 열망을 간직한 사람이었기에, 대학생일 때부터 "Ain't I a Woman?"으로 시작해서 죽을 때까지 40여권의 그 많은 책들을 썼었나 보다. 벨 훅스가 그 당시 노동자 계급 출신의 흑인 소녀들이 되는 흔한 트랙을 따라 교사가 되.. 2021. 12. 23.
벨 훅스를 추모하며 벨 훅스의 부고를 sns에서 보았다. 어제 12월 15일 자택에서 가족과 친구들과 함께한 가운데 지병으로 세상을 떴다고 한다. 한동안 주욱 아팠었다고 한다. 정확히는 알 수 없지만 어쩌면 내가 Teaching Community의 한국어판 서문을 부탁하는 이메일을 쓰던 그 때 이미 아팠겠구나 싶었다. 직계가족이 아닌 누군가의 죽음에 이토록 눈물이 나기는 처음인 것 같다. 부고 뉴스를 보며 울었다. 미국 유학 시절, 페미니즘 이론 수업에서 처음으로 책의 한 챕터로 접한 벨 훅스의 글은 그 때 당시 배우는 많은 페미니스트들의 글 중 하나였다. 하지만 내가 벨 훅스의 팬이 되기 시작했던 것은 귀국 후 그의 책 '경계넘기를 가르치기'를 처음 읽고 나서였던 것 같다. 그리고 나는 이론에서 치유의 공간을 발견했다. .. 2021. 12. 16.
교육이란 [벨 훅스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벨 훅스의 말도 좋고, 벨 훅스가 이 책에서 자주 인용하는 파커 파머(Parker Palmer)의 말도 좋다. 교육이란 이 세상에서 우리 자신의 자리를 발견하고 주장하는 일이라는 걸, 이 책을 읽기 전 그 어느 책에서도 딱히 들어본 적이 없는 것 같다. 교육이 "삶의 생명력을 새롭게 하는 일"이라니. 나는 다음 학기에 할 강의에서 학생들이 이 세상에서 자기 자신과 자기의 자리를 발견하고 주장하는 일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을까. 또 생각하고 고민하게 된다. 2021. 7. 22.
텔레비전 보지 않기 [벨 훅스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아무리 요즘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다르다 하더라도, 분명히 성차별적인 요소들이 심지어 알아차리지도 못하게 곳곳에 은밀하게 깔려있을 것이다. 온갖 프로그램들에, 광고들에. 나는 텔레비전을 보지 않은지 오래되었다. 그러니 성차별적인 광고를 보지 않아도 되고, 성차별적인 프로그램을 보면서 혼자 갈등하지 않아도 되어서 정말로 속 편해서 좋다. 대신 넷플릭스를 보고, 영화를 보고, 포털 사이트에서 뉴스를 찾아보는 일은 하고 있으니, 어차피 뭔가 성차별적인 메시지를 던지는 미디어에 노출되지 않을 수는 없다. 하지만 텔레비전만큼 강력하지는 않아서 살만하다. 성차별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속에는 기존의 집단 즉 지배 집단의 온갖 편견이 가득하다. 벨 훅스가 자주 쓰는 말 '제국주의적 백인우월주의적 자본주의적 가부장제'. .. 2021. 6. 17.
교육에서 진짜로 배워야 하는 것 [벨 훅스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내가 개인적을 벨 훅스를 좋아하는 것 말고도, 미국 내에서 벨 훅스의 영향력이 어땠는지가 궁금해진다. 벨 훅스가 이 부분에서 주장한 것처럼, 페미니즘 기반의, 그 어떤 이데올로기도 주입하지 않는, 대중 기반의 정치 운동이 만들어졌을까. 물론 미국사회는 우리보다 더 오래 전부터 다양성에 민감했고, 내가 2000년대 초중반에 가서 공부할 당시 이미 대학의 모든 수업에서 race, gender, class, sexuality의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었다. 성인교육 전공이라는 특성도 있었겠지만. 아무튼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분치 않아서 벨 훅스가 이렇게 말한 거라면, 우리나라는 얼마나 한참 더 나아가야 하는 걸까.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우고 나가야 할 것은 '마음을 여는 법', '열정적으로 공부하는 법.. 2021. 6. 11.
열린 마음을 가질 용기 [벨 훅스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이 책에서 벨 훅스는 자신의 커리어, 직장 이동에 관해 말한다. 정년보장받은 직장, 그것도 아이비리그 대학 교수 자리를 떨쳐버리고 나오는 게 아무리 유명인 벨 훅스라 하더라도 쉬운 일은 아니었겠지. 그는 자신이 왜 그랬는지, 그리고 흑인 페미니스트인 자신이 왜 텍사스의 한 백인 대학(학교 구성원의 거의 대다수가 백인인 대학)으로 갔는지, 그 과정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자세한 내용은 책에..) 이 부분은 벨 훅스가 그 대학(텍사스의 사우스웨스턴 대학)에서 교수들의 요청으로 입학식 연설을 했을 때의 이야기다. 그는 특별히 공격적이거나 특별히 급진적이지도 않은, 평소와 같은 연설을 했을 뿐이다. 대학에서 공부할 때 무조건 네네 하지 말고, 스스로 생각하고, 질문하며, 비판적으로 생각하라는 말을 했다. 그런.. 2021. 6. 4.
강의실에서의 에로스 [벨 훅스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페페스터디에서 함께 읽으면서도 논란이 되었던 챕터, 강의실에서의 에로스적인 사랑, 성에 대해 이야기하는 챕터다.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수도없이 번진 대학의 스쿨미투, 즉 남교수의 여학생에 대한 성폭력의 이야기도 다루고 있다. 벨 훅스는 교수와 학생간의 연애관계가 폭력과 학대로 시작하거나 그렇게 되어가는 것에 주의하고 그런 점을 비판하면서도,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교수와 학생간의 연애를 금지하고 규제하고 처벌하는 것만이 답은 아니라는 견지를 이어간다. 가장 공감되었던 문장은, 열정적으로 가르치다 보면 어떤 강의실에서든 에로틱한 에너지가 발생할 수 있다는 말이다. 기분나쁜 구석도 있었고, '지금의 대한민국 백래시를 본다면 벨 훅스가 이렇게 말 못할 거야~' 하는 부분도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챕터 전.. 2021. 5. 21.